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환경과학 - 야생화 초지의 유형과 시공

환경과학 - 야생화 초지의 유형과 시공

환경과학 - 야생화 초지의 유형과 시공

 

야생화 초지의 사전적 의미로는 첫째 목초리,초지,초원 둘째 강가의 낮은 초지, 셋째 고원의 산림으로 둘러싸인 초지라고 정의되어 있다. 이를 식물의 생육주기에 따라 일년생 초지와 다년생 초지로 나누며, 침수정도에 따라 건초지(dry meadow)나 습한 초지(wet meadow)로 구불할 수 있다. 또한 목적에 따라 새나 곤충을 위한 초지로 구분하기도 한다. 야생화초지는 건초지와 습초지를 포함하는 상위 개념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계절의 변화를 고려해서 설계된 야생화초지의 경우 연중내내 새나 곤충을 유인하는데 효과적이며, 관목과 잔디밭사이에 존재하는 야생화 초지와 관리된 경관과 인접 산림, 도로나 건축물 사이에서 식생완충지(vegetation buffer)로서의 역할이 가능하다.특히 꽃을 매개체로 생활하는 곤충류의 서식처를 제공함으로서 생물다양성의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이는 지여내의 생물서식공간 조성과 그린 네트워크 조성에 징검다리(stepping stone)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초지/산림강의 완충지대는 수림지역을 둘러싸고 있는 주연부를 넓히고 내부서식환경을 보호함으로써 지역내에 잔존하는 수림지역의 생태저인 가치를 증가시킨다. 야생활초지의 유지관리는 살충제나 비료등의 이용이 적으므로 비점오염원 형태의 직접적으로 줄이는 것이 가능하며 다른 형태의 오염원 또한 야생화가 가지는 대기중의 오염원에 대한 흡착, 여과능력을 통해 감소 될 수 있다. 이러한 능력은 도심내부 식재에서 또한 고속도로에 인접한 경관에 있어서 특히 중요하다. 식생에 흡착된 오염원은 잔디와는 달리 표면수로 유출되기 보다 토양층으로 침투되기 쉽다. 토양은 공기중의 오염원을 효과적으로 여과하므로 야생활초지를 통해 수질의 실제적인 향상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경제적인 측면을 살편보면 자생식물은 오랫동안 지역환경과 기후에 적응하고 진화되어 왔기 때문에 겨울이나 여름의 계절 변화에 잘 견디며 병해충에 대한 저항력도 뛰어나다. 또한 일단 정착이 되면 배수나 시비, 제초작업 등의 유지관리에 있어서 경제적이며 특히, 고속도로 주변에 조성된 야생화초지는 제솔, 토사 유실을 조절하고 교체할 필요가 없어 그 비용 절감된다. 경관적 측면으로 야생화초지는 공원이나 정원 등에서는 장식적 의미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색깔, 질감, 계절에 따른 변화 등으로 연중 다양한 경관을 연출할 수 있다. 도시경관내에서는 조망선을 가리지 않으면서 선호적인 식생다양성을 실현시키는 수단이 되는데 도로변 가로화단 꽃길 조성, 도로변 절개지 등의 녹화시간에 다양한 질감과 색채, 크기와 형태 등의 요소로써 화분(Flower bed) 이나 일반초지(green grass)에 비해 연중 시작적 아름다움을 제공할 수 있다. 야생화초지의 유형은 공간형태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지붕의 경우 야생초화를 사용하여 녹화함으로써 목본식물 식재시 하중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녹지공간을 확보하고 그린네트워클르 형성함으로써 생물서식공간을 조성하고 생물종다양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은 철로변의 중요한 선형의 서식처(linear habiat)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을 사용함으로써 생물서식공간을 확보하고 특히 사용하지 않는 철길의 경우 토양내 양분이 적어도 살 수 있는 야생초화 도입과 정착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공간적 특성에 따른 야생화초지의 유형을 구분해 보면 자연지역에서의 초지, 주거지내의 초지, 학교내 초지, 도로변 식재 초지, 보행길 주변의 초지. 야생활초지는 생태적, 경제적, 미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이점을 제공한다. 이는 종의 선정, 식재지 선정, 물리적 요소, 관리의 문제 등을 포함한 여러 요인의 작용으로 설명될 수 있다. 시각적, 생물다양성 증진의 목적 이외의 자생식물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하되 육상 및 수변 지역에서 볼 수 있는 식물, 사라져 가는 식물을 도입하여 조성하는 것이 좋다. 초화류원의 조성시 토양, 수분, 광 등의 부지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며 이는 식물의 정착과 성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