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과학 - 생태조사 분석 계획의 수립

자연환경복원을 위한 첫 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잇는 현황조사 및 분석 방법을 제시. 이를 위해서 무엇을 어떻게 조사하고 분석해야 할 것이지에 대한 전체적인 밑그림을 그리는 단계로서 생태조사,분석을 어ㄸ떻게 설정하고 나갈 것이지를 제시하고 한다. 특히 기존의 일반적인 계획과는 달리 자연환경복원을 하는데 있어서 필요로 하는 조사 및 분석들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자연환경복원을 위해서 무엇을 언제,어덯게 조사할 것인지에 대한 것은 가장 기초적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잇다. 그리고 그만큼 중요한 사항이기도 하다. 이에 대한 해답으로 우선 무엇을 조사할 것 인지에 대한 것을 제시해 보면. 기존에 이루어지던 조사 항목과 크게 다른 것은 없다. 하지만, 복원의 일반적인 개념이 훼손되기 이전의 것으로 되돌아가는 것이기 때문에 훼손되기 이전에 대한 정보를 조사하고 수입하는 것은 매우중요하다. 또한 복우너계획의 목적은 다양하겠으나 일반적으로 생물다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고 토지이용계획과도 맞물려있기 때문에 지역적 매락을 파악하는 것도 매우 의미있는 조사라고 할 수 있다. 요컨데 앞서 언급한 두 가지는 자연환경복원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기존의 일반적인 조사 항목보다 차별화된 요소라고 할 수 있겠다. 한편 무엇을 조사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것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이전에 자연환경복원계획에 대한 기초적인 목적을 수립해야 한다. 즉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킬 목적이라고 한다면 기반환경과 서식처 및 물종 조사는 다른 항목들보다 우선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현지에서의 구체적인 현황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정량화된 복원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고려해야 할 것은 언제 조사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것이다. 자연환경복원계획은 거의 모든 사업들이 자연생태계 즉, 서식처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계절의 영향을 받게 된다. 식물의 조사만 하더라도 겨울철보다는 봄이나 여름철이 적절하며 습지 식물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식물의 주된 성장기인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동물의 조사는 겨울철에 동면하는 생물종인 양서류나 파충류는 계절을 고려하여 조사할 장소와 시기를 결정해야 하며, 조류의 경우에도 새들의 생태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어떻게 조사할 것인지에 대해서 강조하고 싶은 것은 조사의 시기 및 장소와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생태조사는 일부 합동조사가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같은 시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동일한 시기와 동일한 장소를 대상으로 하여 조사를 해야한다는 것이다. 왜나하면 조사 및 분석 결과의 종합에서 제시하고 있는 서식기반환경과 생물상간의 상관관계 분석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생태조사 특히 자연환경복원을 위한 조사는 생태적 지식의 축적을 필요로 하며 이를 위해서는 서식처의 유형, 동일한 지역에서의 생태적 기반 환경과 생물종 사시의 상관관계의 파악, 그리고 생물종간의 먹이연쇄의 파악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자연환경을 복원하는데 있어서 복원의 방법과 구체적ㅇ니 목적을 설정하는데에도 유용하다. 생태계를 복원하는데 있어서 우선적으로 고려애햐 할 것은 주변 환경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이해라고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대상지역의 대한 맥락을 제대로 이해해야 한다는 말로 대신할 수 있다. 대상지역에 대한 분석과 충분한 이해는 조경이나 건축과 같은 어떤 게획을 수립하든지 갖아 기본이 되고 중요한 것이지만, 생태복원에 있어서 이 분야를 다시 강조한 것은 복원의 방향과 목적을 구체적으로 설정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왜나하면, 주변지역에 서식처의 유무, 전반적인 환경 조건 등에 따라서 복원될 서식처의 유형과 규모,형태, 특성 등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어떠한 지역도 그 곳만 따로 떼어놓고 이해 혹은 분석할 수 없다고 했다. 즉 어떠한 자연환경복원 대상지역이 있다고 한다면 그곳만을 조사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 지역의 주변까지도 넓게 보면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는 지역적 맥락에 대한 조사의 중요성을 말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