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명리학, 인간 탐구 파헤치다.(1)

4. 양곤(長坤)은 낙서(洛書)를 말하는데 지지(地支)로는 임신(寅申)이 된
무토(戊土)는 견고하고 후 중하여 이미 중용을 지키고 또 바르며,
고요하면 닫아 안으로 감추고 움직이면 활짝 열어 만물의 명(命)을
文土)는 인월(寅月)에는 극(剋)을 받으니 마땅히 안정하여야 하
고층(沖)이 있으면 안 된다.
는다. 수(水)가 윤택하면 만물을 발생시키고 화(火)로써 조열 하면 만물이 들게 되며,
신월(申月)에도 설기(氣)가
에도 설기(氣)가 심하여 약해지니 안정하여야 하고 중
동(神)하면 안 된다.
中)을 두려워하고 안정되기를 원
만약 양곤(坤)이 있으면 인신충(寅申沖)을 두려워하고 한다.

을 받기 때문에 복왕절(木王的)인 봄철 모。
○ 무토 일간(戊土日干)의 특성
그 극복(金剋木)이 되어 좋다는 의
※ 무토(戊土)는 목(木)의 극(剋)을 받기 때문에 모
가장 두려워한다는 의미로, 금(金)이 있으면 금 극모(소 미이다. 또한 무토(戊土)는 가을에는 금기(金氣)가 강해 지므로 충극( 다는 의미이다.
가 무인일주(戊寅日柱)의 특성
전이 성향이 강한 일주(日柱)이다. 남성적이고 규모가 큰
지므로 충 극(剋)을 두려워한
반듯하고 모범적인 성향이 가해
이 요구가 있다. 그러나 융통성이 부족하고 지나치게 명분을
모 학문적 성취 욕구가 이다. 그러
거한이 있어 경제적 가치를 만드는 것에는 다소 부족한 면도 있
5. 사계월(四季月, 환절기, 3, 6, 9, 12월)에는 토(土)가 왕(旺) 하니 기이
다. 따라서 직업적으로는 선생, 교수, 공직 등 정신적, 철학적 가치를 추구
하는 것이 맞다.
을 소통시키려면 경신신유금(庚辛申酉金)이 좋다. ※ 환절기에는 토기(土氣)가 강해지는 시기이므로 금(金)으로 설게(氣) 시켜 주
면 좋다는 의미이다.
이 이주(安寅日 柱)에 가장 필요한 오행은 화수(火水)이다. 학문을 통해
공직이나 선생으로 진출하면 출세욕도 높지만 성공할 가능성이 매우 큰
일주(日柱)이다. 다만 대인관계에서 주변의 적을 만들 수 있으므로 주의해
야 한다.
원리원칙주의와 무자비함을 직업적으로 사용할 때는 주로 길(吉)로 나타나
지만 가정생활이나 개인적 대인관계에서는 흉(凶)으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경계해야 한다.
또 무인일주(戊寅日柱)가 사업이나 장사를 하면 실패 가능성이 큰데,
특히 재성(財星)과 식상(食傷)이 없다면 거의 확실하다.
(寅日柱)는 모험과 도전정신, 무모함을 지닌 남성적인 일주(日
· 올바른 길로 들어섰다면 승승장구할 수 있겠지만 지나친 과욕의
노 인해 잘못된 길로 빠졌다면 -
잘못된 길로 빠졌다면 그 피해가 매우 크다. 자존심까지 강해서
수정하기도 어려운 단점이 있다.
직업으로는 공직이나 대기업 능
ᄒ큰 조직이 잘 어울린다. 특히 관성(官星)이
천간(天干)으로 추간(透)
수 있다.


지지(地支)에서 산유(申)를 만나면 사 건사
가 발생하는데, 주로 교통사고사 이치적으로는 배우자와 갈등,
고 낙상 등 신체와 관련된 경우가 많으며 육친 적으로
별거, 이혼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 무인일주(戊寅日柱)의 알레르기
인사 형살(寅巳刑殺)은 지나친 욕망으로 인해 내 가 이끌고 가려는 기운이 강해지는 흉살(凶殺)로 자기주장이나 고집으로 인해 실패할 수 있다는 암시를 주고 있다. 주로 재물에 관련하여 나쁜 작용을 하는데 건강 이 악화하는 일도 발생할 수 있다. 구설, 관제 등 욕심을 통제하는 것이 흉(凶)을 막는 방법이다. 단 군인, 경찰, 검찰, 교도관의 직업은 진급 운
인사 형살(寅巳刑殺)
새)
알레르기 합충형해파 반응 (合沖刑亥破)
무인 일주(戊寅日柱)의
개운 법(改運法)
노 작용한다.
인신충(寅申沖)
신(申)
인신충(寅申沖)은 주로 신체적으로 오는 경우가 많으며 역동성과 역마(驛馬)의 기운이 강해 교통사고, 낙상 등이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 몸에 흉터가 있으면 어느 정도 흉())이 반감되는 효과가 있다. 사회적으로는 일과 직장에서 문제가 발생할 개연성이 있다. 수성(守城)하고 현상 유지해야 한다. 이 시기에는 이동, 이직, 확장, 장거리 출장, 부부 싸움을 금지하는 것이 좋다.
무인 일주(戊寅日柱)의 알레르기 入店(演申沖)/ LAN(R西悠眞)/
인사 형살(寅巳刑殺)
● 이상적인 무인일주(戊寅日柱)의 오행 구성 | 일주(日柱) | | 월주(月柱) 무(戊)
병(丙) 임(壬)인(寅)
자(子) 자(子)
※ 무인일주(戊寅日柱)의 완전 오행이 화수(火水)이다.
유(酉)
인유원진 (寅怨眞)
인유 원진(寅酉怨眞)은 부부 관계, 수술 수 등 육 친 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상당히 예민해지고 스트레스가 가중되는 형태로 나타나며 일에 대해에서도 지체 현상이 일어난다. 이 시기에는 되도록 새로운 일을 시작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부부싸움도 자제하는 것이 좋다. 이 별수, 관재수, 이 혼수, 이직, 이사, 창업, 이를 조심하고 현상 유지해야 하며 관절(뼈), 대신 관련 수술 수에 대비해야 한다.
나, 무진일주(戊辰日柱)의 특성 무진(辰) 히 용(龍)은 겉보기에는 웅장하고 위대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실속이 없는 속 빈 강정인 경우가 많은 일주(日柱)이다. 물상 적으로 비유하자 먼 거대한 민둥산 아래 잠든 용(龍)의 형상으로, 산의 무게로 인해 늘 불평
불만과 중압감이 있는 일주(日柱)라고 할 수 있다.
兵士)의 지장간(支藏干) 무토(戊土)가 추간(透) 되어 있어

자 가련하게 발산되는 일주(日柱)이기도 하다.
士)의 기운이 가장 강력하게 발산되는 이주
○ 무진일주(戊辰日柱)의 알레르기
추진력 등 자기 기운이 극대화된
간 여지동(如之同)의 기운은 고집, 아집, 추진력 등지
알레르기 합충형해파 반응 (合沖刑破
무진 일주(戊辰日柱)의
개운 법(改運法)
상태이다. 다정으로는 강한 자기 기운으로 인해 누구의 충고도 잘 듣지 않으며,
즈벼에 반드시 목기운(木氣運)이 이
고집대로 움직이려는 성향이 강하다. 주변에 반드시 모기
해 줘야만 올바른 방향으로 추진력이
어 목극토(木剋土) 제동장치 역할을 해 줘야만 올바른 방향으로
발휘될 수 있다.
사(巳)
진사(辰巳) 천라지망(天羅地網)
진사(辰巳) 천라지망(天羅地網)은 우선 문서, 자격, 절차 등 사회적 약속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개연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사업 투자나 확장을 할 때, 절차와 법률에 이상이 없는지 매우 유의해야 한다. 천라지망(天羅地網)은 하늘과 땅의 그물에 걸려 꼼짝도 못 하는 가장 나쁜 상황, 일의 중단이다. 마무리가 잘 안 되는 상황이다. 수술 수, 각종 사 건 사고 발생 등으로 매우 심각한 흉 운(人運) 임을 명심하자.
또 일지(日支) 옆에 유금(酉金)이나 신금(申金)이 있으면 다정다감하고 소이 용이 갓 해지는 경향을 보이는데 무진일주(戊辰日柱)에는 좋은 작용을 하
는 경우가 많다. 반대로 해수(亥水)나 사화(巳火), 술도(戊土)가 있는 경우는
매우 강력한 흉(凶)으로 작용하는데 이런 운(運)에서는 현상 유지하고 학문
하는 것이 좋다.
진토(辰土)는 영리하고 계획, 기획, 모사 등에 능하나 변덕이 있고 배신을 잘하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여성의 경우 중성적인 매력이 있고, 남성은
| 해(亥)
진해(辰亥) 원진 귀 문(怨噴鬼門)
진해(辰亥) 원진귀문(怨眞鬼門)은 정신적으로 예민해지고 스트레스가 가중되는 형태로 일의 지체 현상이 일어난다. 주로 부부간의 문제가 발생하지만 형제, 자매, 동료, 친구 등 횡적인 관계에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 별수, 관재수, 이 혼수, 이직, 이사, 창업, 확장을 조심해야 한다. 사업적으로는 현상 유지해야 하며 건강상으로는 수술 수가 발생할 수 있다.
다소 고집이 세고 타인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경제적으로는 생산성을 지니고 있어 목(木)을 성장시키는 탁월만
능력이 있다.
술(戌)
진술 충(辰戊沖)
진술충(辰戌沖)은 화개(華蓋)의 어원적 의미처럼 잘 진행되던 일의 지체, 멈춤 현상 등 목적 달성이 어려워지는 경향을 보인다. 새로운 시 도보라는 마무리를 해야 하는 운(運)이다. 그러나 인과관계 때문에 예전에 잘못한 씨앗을 심었다면


선릉의 무토(戊土)는 기운이 동(動)하므로 열어서 발생시키고, 가
이 무토(戊土)는 기(氣)를 안으로 닫아 수장(收藏)시키는 일
을, 겨울의 무토(戊土)는 기(
생산성
을 하므로 만물의 사명(司命)이라 한 것이다.
(+)의 기능은 봄여름엔 열기를 내보내고 가을, 겨울은 열기를 땅속에 저
무토(戊土)와 기토(己土)의 특성 비교 구분
무토(戊土)
정신적 가치 추구 특성

결과가 나쁘게 나오거나 참담한 현지
나 참담한 현실에 직면할
| | 역마(驛馬) = 역동적인 양(陽)의 이직
▶ 도화(桃花) + 역마(三
수 있다. 현상 유지해야 하며, 확장, 이전이다.
지혜야 하며, 확장, 이전, 이동 금지 시기
번째 특성은 공부, 자격, 보존, 전통적 성향이다.
무오 일주(戊午日柱)의 두 번째 트서,
가치를 보존하려는 성향이 강하며 자격 및
무오 일주(戊午日柱)는 주트
사안에 대해서도 문서화하기를 좋아한다. 즉 명확하고
무진 일주(戊辰日柱)의 알레르기 진사(辰) 천사 지망(天羅地) / 진해(辰亥) 원진 귀 문(..
진술 충(成中)
검증을 통해 어떤 사안에 대해서
어고 대외적으로 인정받기를 원하는 것이다. 또한
법적으로 하자가 없고 대외적으로 6
이 동시에 있어 선생님, 상담직, 변호사 등에서도 두각을
대한 재능과 갈망이 동시에 있어 서사
나타내기 쉽다.
• 이상적인 무진일주(戊辰日柱)의 오행 구성 일주(日柱)
월주(月柱) 무(戊)
갑(甲)
土) 자체는 생산성이 약하나 오화(午火)를 만나 에너지가 새롭게 증
다되므로 공직, 교직뿐 아니라 예술, 예능, 사업까지 주변 본상(性)
진(辰)
오(午)
에 따라 성공할 수 있다.
※ 무진일주(戊辰日柱)의 완전 오행이 목(木花)이다.
자수(子水)가 운(運)에서 들어올 때나 축토(丑土)가 들어올 때 최악의 상황
이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미리 대비해야 한다.
다. 무오일주(戊午日柱)의 특성
운운)이 좋은 경우 부동산으로 큰 재물을 모으기도 하지만 그러기 위해서
무오 일주(戊午日柱)의 첫 번째 특징은 도화(桃花)의 기운(氣運)과 역마(驛馬)
는 선결 조건인 수(水)와 금(金)의 식신 생재(食神生財)가 이루어져야 한다.
의 기운(氣運)을 동시에 지닌 발산역이 매우 강하다는 것이다. 평야를 달리
단점으로는 권위적이고 지나치게 보수적인 면이 있으며 융통성이 없다.
는 힘찬 야생마의 형상을 지닌 무오(戊午)는 남성적이면서도 부드러운 카
리스 마를 함께 지닌 일주(日柱)이다.
◎ 무오일주(戊午日柱)의 알레르기
가장 큰 특징은 자기 기운이 강하다는 것과 타인의 시선을 매우 의식이
알레르기 합충형해파
(合沖刑亥破)
자신의 외모를 가꾸는 것에도 소홀함이 없다는 것이다. 즉 타인
반응
무오일주(戊午日柱)의
개운 법(改運法)
받기 위해 꾸준히 노력과 정성을 들인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조급증과 성급한 성격은 실수를 만들고 다 된 일
만들고 다 된 일도 수포로 만들기
축오(丑午)
원진 귀 문(怨順鬼門)
축오(丑午) 원진귀문(怨眞鬼門)은 문서의 불길 함이 있고 사업적 확장이나 이사, 이동, 이직 등 이 안 좋다. 또한 아니라 사회적 인간관계, 육 친 적 관점에서도 조심해야 한다.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