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명리학 중급이론(3)

《적천수(滴天髓)》 천간론(天干論) - 을목(乙木)
乙木 柔, 到 諒解, 丁內, 鳳乘
(
虛濕之地, 騎馬亦憂,
| 하 火)를 보면 지나치게 무성해질 수도 있어 경계
藤繫甲, 可春可秋
또 을목(乙木)은 병화(丙火)를 비
을목 수유, 규 양해우, 화장 포병. 과봉승후, 허 습 지지, 기마여 이
해야 한다.
은 많은 영감과 정보를 준다. 그러나 여기서도 옥석을
등라계갑, 갖추는가? 추,
천간론(天干論)은 많은 영감과 전
가리는 것은 중요하다.
을목(乙木)은 비록 유약하나 미 토(土)를 극 剋) 하고 축(丑)을 해부할 수 이 m
정(丁)을 품고 병 肉)을 안으면 유 酉)에 앉고 신(申)을 타고 안은 슬
허 습지 지(源之地)에 있으면 오(午)를 타고 앉아도 역시 근심되고
갑목(甲木)이 함께 얽혀 주면 봄도 좋고 가을도 좋다.
■ 해설
을목(乙木)도 갑목(甲木)과 마찬가지로 여름에는 수(水)가 필요하고
봄, 가을, 겨울에는 화(火)가 필요하다는 의미이며,
봄에는 나뭇잎이 나기 위해서는 화(火)가 필요하고, 여름에는 건조한 땅을 윤택하게 하려고 수(水)가 필요하고, 가을에는 금(金)을 제압하기 위해서 화(火)가 필요하며, 겨울에는 얼어붙은 땅을 녹이기 위해서 화(火)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을목(乙木)은 지주목이 필요한 오해이다. 지주목이란 을목(乙木)이 처음 타고 올라갈 수 있는 나무를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선 갑목(甲뿐 아니라 경금(庚金)까지 지주목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십 성(星)으로 보면 큰 재난(順)도 도움이 된다는 의미이다.

3) 병화(丙火)의 알레르기 ○ 병화(丙火)의 특성
오행 구분
토(土),
화(火)는 오행 중 가장 뚜렷한 개성을 지니고 있다. 그것은 화(火)가 빛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보인다는 것은 남의 시선뿐 아니라 자신에 대한 모습도 시는 의미가 있다. 그래서 화 火)가 발달한 사람은 예의가 있고 (禮)의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 화(火)의 작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빛(光)과 열(熱)의 작요
시에 대한 모습도 스스로 보고 있다. L 쟁반의 예의가 있고 오상중 예
화(火)의 확장성 제어
| 비고 화(火)의 분열, 팽창, 염상(炎上)의
습토(濕土)가 필요. 기운을 땅속에 고정하여 화(火)의 확
조토(燥土)는 불필요 장성을 한정해 준다. 화(火)의 기운을 씨앗 형태로 저장, 차단하여 금생수(金生水), 수 생목 금(金)이 약하면 저자 (水生木)을 통해 화(火)의 기운을 들 기능을 상실한다. 퍼낸다. 화(火)의 기운을 약화해 제어하는 수기(水氣)가 강할 경우 화기(火氣)가 강할 경우 오히려 화 화기(火氣)가 완전히 제 (火)에 의해 능욕을 당할 수 있다. 고될 수도 있다.
금(金)
수(水)
| 구분
빛(光)
열(熱)
보이다.
작용
보이다. 광합성
간접 작용 드러냄으로 목적 실현 사회적인 성패
만들다, 섞인다. 빠르다. 흡수하다. 익히다, 결실을 보다.
직접 작용 완성함으로 목적 실현
개인적인 성취
화()는 목(木)을 만나면 목(木)을 세상 밖으로 끌어내어 드러나게 하고, 토 (士)를 만나면 현실적으로 한정하여 목적 실현을 도모하며, 금(金)을 만나면 미래를 위해 차단, 저장한다. 광합성을 받은 나무가 빛 에너지와 열에너지를 수(水)를 통해 씨앗 속에 저장하고 단단한 껍질로 보호하는 것을 의미
목적
한다.
금(金)을 만나면 씨앗 속에 정보를 보관하여 수(水)에 전달한다.
화는 불규칙하고 불안정하다. 화(火)의 이런 속성은 확장성 때문이다. 화(火)의 확장성은 확산, 팽창, 분열, 생식으로 인해 만들어진 것이다.
이들 제어하기 위해서는 토금수(土金水)의 역할이 필요하다.
토 금수(土金水)의 역할이 없는 화(火)는 무한 분열, 팽창, '
000
한 분열, 팽창, 확산하다가 한 순
빛 에너지
간 꺼진다.
열매, 씨앗
응축, 응집
따라서 화 火)의 확장성을 제어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가을까지 작물을 생장시키기 성격상 매우 급하고 맹렬할
위해 필요하다. 병화(丙火)는 불(火)의 성곡사
子)》 천간론(天干論) - 병화(丙火)
◆ 적천수(滴天髓) 처가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침착하고 예의 바르며 사리 비
| 바르며 사리 분별이 정확하다.
海士 能 沙金, 逢1反法, 土衆成,
R
,
海, 能
丙火 猛烈,
거대한 바다 위에 또 있는 태양처럼 풍요롭고 평화롭다.
그러나 한번 화를 참지 못하고 발산하면 마치 거대할 하
虎馬犬鄉甲木若來必當焚滅 병화 맹렬, 기상 모설, 능 단것 그
기 사모설 능단경금, 봉신반 겁, 토종 성자, 수창 현절,
거대한 화산이 대폭발을 일
으켜 온 천지를 용암으로 뒤덮듯이 그 위력이 대단하다.
참깨 겨냥, 갑목 약해. 필당 분멸,
성격적으로도 추진력과 표현력은 좋으나 실수가 많은 편이다.
야으 만물의 생명을 키워내는 에너지의 근원이다. 목(木)을 마
1) 너희 맹렬(猛烈)하여 눈에서라도 기만하고 업신여기며 경금(庚金)
이다. 목(木)을 만나면 가지
늘 자라게 하고 토(土)를 만나면 그 기운(氣運)을 더할 것이다.
-하 제련할 수 있으나 신금(辛金)을 만나면 반대로 겁 약하고 토
병화(丙火)는 강력한 힘을 상징한다. 언제나 지칠 줄 모르는 열혈 청년처럼
1. 마음이며 자비를 베풀고, 수(水)가 창궐하면 충절을 나타내고 인
정열적으로 기운(氣運)을 발산한다. 아무리 단단한 금(金)일지라도 녹일 슬
오 술(寅午戌)이 생성되었는데 갑목(甲木)이 오면 반드시 모두 타버릴
있고 자신을 극(剋) 하는 물(水)을 만나도 용감한 장수처럼 죽을 때까지 싸
것이다.
운다. 결코 강한 존재이다.
■ 해설
그러나 때로는 사랑에 빠진 청년처럼 방향을 잡지 못한 채 이리저리 에너
병화(丙火)는 순수한 양(陽)의 화(火)이다. 세력이 강하나 보편적이고
지를 쓸데없이 소비하고 자신의 열정에 못 이겨 슬그머니 꺼지기도
한다. 병화(丙火)가 임수(壬水)를 만나면 잔잔한 바다에 햇살이 비치는 눈
부시고 평화로운 풍경이다. 그러나 실제 임상에서는 양극 양(陽)의 수
극화(水剋火)로 치열하게 싸울 수 있는데 수화 미제(水火未濟)가 되어
에너지를 확산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양목(陽木)에는 최적의 조건을 만들어 주지만 음목(陰木)은 자칫 무성해질 수 있어 조절이 필요하다. 이는 을목(乙木)이 상관(傷官)을 만나 부화뇌동과 착각에 빠지는 현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병화(丙火)에게 목(木)은 음양(陽)에 따라 다른 해석을 해야 한다. 금(金)을 만난 병화(丙火)는 경금(庚金)을 곡(剋)할 수 있으나 신금(辛金)을 만나면 오히려 온순해지고 상향된 기운이 가라앉게 된다.
이 무너졌을 때이다.
이는 수기(水氣)가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양금(陽金)인 경금(庚金)에는
인 경금(庚金)에는 화(火)가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만
음금(陰金)인 신용금(辛金)고에는 화(火)가 오히려 상처를
. 오히려 상처를 낼 수 있으므로
한 개 정도 있는 것이 적당하다.
○ 병화일간(丙火日干)의 특성 가, 병인 일주(丙寅日柱)의 특성 초목에 양광(陽光)이 비치는 형 火)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또 천간(天干)보다는 지지(地支)에 있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신금(辛金)은 이미 만들어진 금(金)으로 화(外…. 면 형체가 훼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비치는 형상으로, 병(丙)이 인(寅)을 만나 본 생화(木生
(金)으로 화(火)가 가까이 있는
시켰다는 것은 사회적으로 목적 실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
토(土)를 만난 병화(丙火)는 현실적으로 안정되어 고
ᄋ근 사정되어 관인 상생(官印相性)
의 기운을 만들어 낸다. 조토(燥土)보다는 습토(濕土)가 좋으며 한
가 습토(濕土)를 만나면 토(土)의 기운이 매우 풍부해지는데 빙하가 기
천 모 화통 명(木火通明)으로 배우고 익히는 데 재능이 있으며 활인(活 ) 업종에서 성공할 수 있는 일주(日柱)이다. 활인 업(活人業) 중 최고 좋은 종이 판매업은 선생님, 교수 등인데 이때는 토기(土氣)가 적당히 있어 무한 확장하려는 병화(丙火)를 고정해 안정감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독창성, 배짱, 진취적 기상 등 천연적 기질이 강하다. 다만 지나치게 활동적이고 고집이 세고 욕심이 많을 수 있다. 주변에 토(土), 수(水)가 있으면
흠진 토양으로 변하는 것과 비슷하다.
따라서 화생토(火生土)는 화(火)의 확산 팽창성을 한정해 주고 씨앗 속
의 열기를 보존하여 수목(木)으로 발현하는 근원이 되어 준다.
중화(中和)된다. 단 천간(天干)에서 임수(壬水)를 보고 지지(地支)에서 신(由)
수(水)가 화(火)를 만나면 서로 죽이려 하는데 이때 화수(火水)가 통관
을 만나면 매우 흉(凶)하다. 즉 임신운(壬申運)에서는 매우 조심하고 현상
되어 수화기재(水火旣濟)가 되면 화수(火水)의 균형은 오히려 서로
치를 만들어 내는 형태가 된다. 그러나 균형이 무너지면 서로 죽거나
죽이는 상전(相)이 일어나 좋지 않다. 이를 수화 미제(水火未濟)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