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명리학 중급이론(1)

()는 습목(濕木)이다. 불이 잘 붙지 않는다는 의미를 다.
- 의미를 담고 있다.
털 구름 구조로 인해 변덕과 불편
즉 목생화(木生火)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운 구조
만이 강한 편이다.
더이다. 따라서 잘못하면 이거지
묘목(卯木)의 가장 큰 특성은 호기심과 변덕이다. 따고
특히 골절 관련 심각한 사고, 수술 수, 암 등 건강상으로도 그 상황이 다양하다. 따라서 묘유충(卯酉沖)이 들어오는 대운, 세운(歲運), 월운(月運) 때에는 세심한 조심과 대비가 필요하다. 특히 을묘 일주(乙卯日柱)의 실체가 없음 충(卯酉沖)은 자기 신체적 문제일 가능성과 형제, 자매, 동료, 배우자 등의 건강과 관련된 수술 수가 있다.
즉 같은 전문가 시대에 팔방
것 팔방미인의 형상으로 무성해질 수 있다. 요즘 같은지
미인은 칭찬이 아니다.
치자가 피에 자신이 피해 보는
수학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는 장점이지만 자칫 자기 꾀에 자
상황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늘 큰 틀에서 숲을 보는 습관을 들여야
자괴는 있지만 경계해야 하며 무엇이든 시작 !
리에 대한 계획이 있어야 실패를 막을 수 있다. 간섭받기를 싶어
성이 강하고 의심과 집착도 있는 편이다.
묘목(卯木)은 언만물무야(言萬物茂地)이다. 이는 만물이 위에서 덮고 있는
묘신(卯申) 원진귀문(怨眞鬼門)은 정신적인 혼란 증상과 폐, 대장 등까지 건강을 위협받는 구 조이다. 또한 불의의 공격을 받는 형상으로 예측 불가능한 사건·사고에 노출된 최상위 흉살(凶殺)이다. 경제적, 정신적, 신체적으로 다양하게 올 수 있으며 직방 살이면 흉(凶)이 가중되어 매우 심각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시기에는 활동 및 음주를 자제하고 현상 유지와 기도, 명상 등으로 심신을 안정하는 것이 좋다. 또한, 사업 확장이나 여행, 무리한 운동, 음주는 삼가는 것이 좋다.
묘신(卯申) 원진귀문 (怨噴鬼門)
신(申)
흙을 뚫고 밖으로 솟아 나오는 모습을 상징한 것이다. 묘목(卯木)은 임목
(陰木)이며 순수한 나무로 계절은 3월, 동물은 토끼를 상징한다.
◎ 을묘일주(乙卯日柱)의 알레르기
알레르기 '반응
합충형해파(合沖刑亥破)
을묘 일주(乙卯日柱)의
개운 법(改運法)
묘유충(卯酉沖)은 왕자(支)에 발생하는 중(門) 중에서도 가장 그 피해가 강하고 그 효과도 명확
한 편이다.
재)
유(酉)
묘유충(卯酉沖)
자묘형 살(子卯刑殺)
사주에서 일지(日支)에 왕 지충(支沖)이 발생했다는 것은 매우 큰 사건·사고가 만들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최악의 경우 실직, 이혼은 관 고 목숨까지 위태로울 수 있다.
자묘형 살(子卯刑殺)은 사주의 알레르기 중 가장 약한 편에 속한다. 습(濕)이 가중되는 현상인데 일(직장 업무)이나 목적이 더디게 진행되거나 지 채 · 멈춤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이다. 크게 걱정할 만한 알레르기는 아니지만 지나치게 급(濕)할 때는 피해가 다소 커질 수 있다. 건강상으로는 우울증, 신장, 방광, 호르몬, 내 분비 계통을 조심해야 한다.


을묘 일주(乙卯日柱)의) 알레르기 묘 유충(卯 乳中) / 묘신(卯申) 원진 귀문( 鬼門)
(
鬼門) / 새끼 모 형살(子
흠을 즐기는 편이다.
가시지 일지(日支)에 사화(巳火)가 있는 사람은 우려와
)
뱀은 냉혈동물이지만 실제 일지(
기고 있으며 언변과 설득력이 있어 연애와 비즈니스
● 이상적인 을묘일주(乙卯日柱)의 오행 구성
달리 따뜻한 감성을 지니고 있으며 어
XL 사람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따라서 을목(乙木)이 지니
일부(日柱)를(乙)
에서도 감동을 주는 사람으로 이는 탁월한 생존 능력과 사화(
월주(月柱) 정(丁), 병(丙), 갑(甲)
진(辰)
- L럽과 사화(巳火)의 재능이 결합한 을사 일주(乙巳日柱)는
묘(卯)
최고의 조합이라고 할 수 있다.
(才)를 만나면 착각에 빠져 오판을 하고 진(辰)을 만나면 예기치
그로 겨울보다는 봄철이 가장 이상
아으 사건·사고로 위험에 빠지며 유(酉)를 만나면 사랑에 빠진다.
※ 을묘일주(乙卯日柱)는 생산성이 극대화되는 시기이므로 겨울보다는 보 적인 형태가 된다. 병화(丙火)가 다소를 목(乙木)을 번잡하게 만들 수 있 가 신자진(申子辰) 수(水)의 고(庫)로 화기(火氣)를 일정 부분 억제하는 연한 시간(時干), 연간(年干) 등에 갑경(甲庚)이 있어야 좋지만 없을 것을 서 들어올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하 을사일주(乙巳日柱)는 재능이 많지만 파기(戊土)와 진토(辰土)를 매우
L 의사 이주(乙巳日柱)가 흙 파기(戊土)와 진토(辰土)를 만난다는 것은 사
화(火)의 기운이 무덤으로 들어가는 형상으로 매우 안 좋다.
다. 을사일주(乙巳日柱)의 특성
사화(火)는 양기지이진(陽氣之已盡)이다. 이(己)는 '그치다'라는 의미가 이
을사(乙巳)는 상관(傷官)을 가장 잘 쓸 수 있는 일주(日柱)이다. 재능이 직설
은이 이는 양기(陽氣)의 왕성함이 극(剋)에 달하여 만물이 왕성하게 자라나
적으로 발휘되는 성향을 보이며 예술 계통으로 탁월한 감각을 나타낸다.
는 모습을 상징한 것이다.
을사(乙巳)의 상관(傷)이 가장 잘 발휘되기 위해서는 재서)의 여부가 관건
◎ 을사일주(乙巳日柱)의 알레르기
이 된다.
즉, 토(土)의 여부가 직설적인 재능의 질 質을 결정한다는 의미이다.
알레르기 합충형해파 '반응 (合沖刑亥破))
을사 일주(乙巳日柱)의
개운 법(改運法)
을목(乙木)은 자유와 역마(驛馬)의 기운이 강하고 사화(火)는 열정과 따뜻
함이 있다. 을목(乙木)과 사화(巳火)의 결합은 새로운 것을
의 결합은 새노운 것을 창조하는 에너지
로 사용될 경우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진(辰)
진사(辰巳) 천사지망
을사 일주(乙巳日柱)의 정제(精製)되지
'진사(辰巳) 천라지망(天羅地網)은 예측 불가한 사건·사고에 노출된 최상위 흉살(凶殺)이다. 경제적, 정신적, 육친 적으로 다양하게 올 수 있으며 직방 살이면 매우 심각하다. 특히 구설 수와 관재수가 있어서 논쟁, 시비 등을 조심해야 하며 여성은 남편과의 불화를 조심해야 한다.
을 정제(精製) 과정을 거쳐
(天羅地網)
새롭게 창조시키는 역할은 토(土)의 작용이다.
을사일주(乙巳日柱)는 열정과 역동성을 가지고 이
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새로운 도전과

이 시기에는 현상 유지와 기도, 명상 등을 하며 부 활동은 자제하고 심신을 안정하는 거 한 대인관계나 자세 확장 여행, 무리한 운도 이
사를 안정하는 것이 좋다. 또
행 무리한 운동, 음주 등
을사 일주(乙巳日柱)의 알레르기 처라 지망(天羅地網) / 사술(巳戌) 원 진귀 문(眞鬼門) /
사해충(巳亥沖)
진사(辰) 천라지망(天羅地) / 1
은 삼가 는 것이 좋다.
이상적인 을사일주(乙巳日柱)의 오행 구성
일부(日柱)를(乙)
월주(月柱)
갑(甲), 경(庚) 사(巳)
자(子) 일부(日柱), 정해(丁亥)·병진(丙辰) 월주가 알레르기로 인해 충돌이 발생하여, 천 간 운(運)에서 화운(火運) 때 대발(大發)하게 된다.
술(戌)
사술(巳戌) 원진귀문(怨眞鬼門)은 목적지를 다 는 도중 길을 잃어버리거나 귀신을 만나는 사이다. 내 안에 내가 또 만들어지는 빙의 현사고 불안, 초조, 조울, 우울 등 급격한 감정 변화와 욱하는 성향으로 인해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 있는 매우 치명적인 구조이다. 경제적, 정신적, 감성적으로 다양하게 올 수 있으며 직방(直方)이면 그 흉(凶)이 배가 된다. 이 시기에는 현상 유지와 기도, 명상 등 활동 및 음주·가무를 자제하고 심신을 안정하는 것이 좋다. 또한 여행, 무리한 운동, 음주 등은 삼가는 것이 좋다.
사술(巳戌) 원진귀문(怨眞鬼門)
라, 을미일주(乙未日柱)의 특성
을미 일주(乙未日柱)는 육십갑자(六十甲子) 중 가장 척박한 환경 속에 놓여
진 화초목(花草木)으로, 아무리 생존력이 강한 을목(乙木)이라도 살아남기
어려운 구조로 수(水)가 있어야 생존이 가능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을미일주(乙未日柱)는 백호(白虎)의 기운이 있는 매우 강한 일주(日柱)
해(亥)
사해충(巳亥沖)
사해충(巳亥沖)은 사주의 알레르기 중 길흉(吉凶)이 함께 있는 형태를 하고 있다. 그 기준은 순수한 일 혹은 활인(活人) 업종에서는 합격, 승진 등 좋은 작용을 하지만 유흥, 창업, 투자 등 욕심으로 만들어진 사업이나 장사에서는 매우 불길하다. 사해충(巳亥沖)은 길흉(吉)이 분명함으로도 시기에는 절대 욕심을 내지 않는 것이 포인트라 고 할 수 있다. 외국으로 유학을 하러 가거나 회사에서 해외로 발령 나는 것은 좋은 작용으로 능선이 높다. 유학은 좋으나 여행은 다들 T
노, 형살(刑殺)과 충극(沖剋)에 매우 민감한 특징이 있으며 내가 주체가 돼 려는 기운이 매우 강하여 남에게 지시를 받는 것은 서툴러 직장이나 조직 생활이 어렵다. 자신이 대장이 되려는 기운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을미 일주(乙未日柱) 주변에 수기(水氣)가 없다면 이는 사막에 왜 시스가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삶이 매우 힘겨울 수밖에 없다.
주(乙未日柱)가 사막의 선인장처럼 척박한 환경 속에서도 살 수 있는 능력이 있다 해도 운(運)에서 열기가 가중되면 살아남기 어렵다.
일주(乙未日柱)에게 가장 나쁜 운(運)은 오화(午火)와 술도(戊
것은 좋은 작용으로 나타날 거
은아 여행은 나쁠 수 있다.
그래서 을미일주(乙未日柱)에 기

주될수록 죽음의 땅으로
ᄋᄅ 고집이 세고, 활동적이고, 의료, 종교, 철학(무
土), 미토운(四山)이라 할 수 있으며,
을미(乙未는 기본적으로 고진 이
높은(活人) 업종으로 진출하면 성공하는 경우가 많다.
수업 포함), 운동 등 활인(活人) 어조
가히 생 조력을 지닌 을목(乙木)도 한계가 오는 것이다.
서 지지(地支)로 조토(士) 대신 쓸
그러나 수기(水氣)가 전혀 없는 상태에서 지지(地)
마를 편이고, 산을 좋아하고, 잘 돌아다닌다.
이 있으면 부부간의 불화 및
· 체형도 마른 편이고 사
도운(濕土運) 이 들어오면 매우 좋다. 단축(丑)이 있으며
마(牛)하는 경우가 많고, 부모로부터 상속받기 쉽다.
슬 맞은
· 그러나 부선망(父先亡)하는 것이기 1
수미 감자형 살(戊未刑殺)보다는 훨씬 좋은
재산상 손실이 조금 있을 수 있으나 술미 형살(戌 未
)가 잘 놓여 있는 경우, 수(水)는 지지에 있는 것이 좋다.
· 수기(水氣)가 잘 놓여 있는
작용을 하므로 축미충(丑未仲)의 작용은 무시해도 되다.
암 환자가 물에 빠지면 물에서 구하는 게 우선이다.
특히 오행(五行) 구성이 좋은 경우 남성은 처복이 있는 경우도 이이
○ 을미일주(乙未日柱)의 알레르기 합충형 해파
(合沖刑破)
을미일주(乙未日柱)의
개운 법(改運法)
수기(水氣)가 없는데 흉 운(運)이 중첩될 경우 극단적인 선택을 많이 하니
'욱'하는 일주이기도 하다.
미(未) 속에 있는 지 장관 정을기(丁乙己) 중 을목(乙木)이 자신을 나타내는
일간(日干)으로 이미 일간(日干)으로 추가(干)되어 있다.
미토(未土)의 고(庫)가 비견(乙)이므로 스스로 무덤에 들어간다는 암시를 주
는 일주(日柱)이다.
술)
술미형살(戌未刑殺)
술미 형살(戊未刑殺)은 열기가 가중되는 형태로 사주 원국에게 수기(水氣)가 없는 경우 자살, 교통사고, 살인 등 극단적인 사건·사고와 연관성이 깊다. 실제 필자의 임상 결과 수기(水氣)가 없는 을미 일주(乙未日柱)에서 술미 형살운(戌未刑殺運) 때 자살 사고가 가장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기(水氣)가 전혀 없는 사주의 술미 형살(戌未刑殺)은 매우 치명적이다. 특히 열기가 가중되는 형태를 보일 때 더욱 위급성이 증가한다. 단 의사나 선생 등 업상 대체되는 직업 선택 시 흉(凶)이 완화한다.
따라서 을미일주생(乙未日柱生)은 수(水)의 위치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그렇다고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수기(水氣)가 없다고 하여도 적절한 개
운 법을 사용한다면 충분히 예방하고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무방비로 방치하면 위험해질 수 있으니 사전에 자신의 상태를 점검
하고 주변에서 함께 도와주어야 좋다.
을미(乙未)는 기본적으로 우울증과 조울증이 있는 경우가
이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수기(水
축미충
축미충(丑未沖)은 사주 내에 수기(水氣)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로 구분하여 상세히 해석해야
網) 등이 있
系가 지지(地支)에 없는데 충(沖), 형살(殺), 천라지망(天
, 전라지망(
(丑未沖)
한다.
을 경우, 미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기(水氣)가 있는 경우, 축만(
하러 가자 시급한 것이 화(火)가 아닌 수(水)이다. (b)가 전혀 없는 경우 각종 질병에 시달릴 수 있고 극단적인
이 乙未日柱)는 사막의 화초로 가장 시급한 거
42 축미충(丑未沖)은 흉 셋이 높지만 이부시켜 주는 행위로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주 전체에 일정 수기(水氣)가 저 사건·사고에 연관되기 쉽다.
전혀 없는 경우는 열기를 일부 식혀 주는 좋은 작용을 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축미충(丑未沖)은 수기(水氣)를 보고 판다. 한다. 축미충(丑未沖)이 사주 원국에게 은 재물 욕심이 강한 편이어서 사업이나 자 ol
마 을유일주(乙酉日柱)의 특성
殺)이
士)를 보는 순간 떠올려야 할 것은 음식 귀신 제 살(
이 사주 원국에게 있는 사람
을유 일주(乙酉日柱)를 보는 순간
이주(西日柱)에 정화(丁火)가 있다면 일단 서류전형에서 합격
다. 즉 을유일주(乙酉日柱)에 저
잘 맞다.
판정을 받은 것과 같다.
0017서)는 바위 위의 초목(草木)으로 을미 일주(乙未日柱)와 비슷한 척박
거 소에 놓여 있는 일주(日柱)이다. 물리적 힘으로 보면 을미(乙未) 보
다도 더 열악할 수도 있다. 그래서 을유일주(乙酉日柱)에 화(火)가 전혀 업
다면 단명하는 사주가 된다.
자(子)인(寅)
자미원진(子未怨眞)
인미 귀문(寅未鬼門)
자미 원진(子未怨眞)은 인미 귀문(寅未鬼門)과 오행(五行)의 생극(生剋)은 상반되지만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원래 원빈(眞)과 귀문(鬼門)은 비슷한 작용으로 하는 흉살(凶殺)로 이혼, 이별 등 부부간의 갈등으로 유명하지만 실제로는 사기, 손실 등 경제적인 면에서 나쁜 작용을 하는 경우가 더 많다. 이 시기에는 현상 유지 및 수정하는 것이 좋으며 특히 투자, 확장은 금물이다. 왜냐하면 어려운 시기이기 때문이다.
을목(乙木)은 신금(辛金)을 가장 두려워한다. 을유 일주(乙酉日柱)에 화(火)가 없는 상태에서 신금(辛金)이 또 들어온다면 최악의 상황이 되는 것이다. 바 위 위에 핀 꽃을 떠올려 보자. 바위를 뚫고 바위에 뿌리를 내리고 버티는 모습이 애처롭기까지 하다. 바위란 척박한 환경은 편관(偏官)을 100% 살(殺)로 작용하게 한다. 예측 불가한 위협들이 일간(日干)을 언제든 공격하여 죽일 준비가 되어 있는 것이다.
을미 일주(乙未日柱)의 알레르기 술미 형살(戌未刑殺) / 축미충(丑未) / 자미 원진(子未),
인미 귀문(寅未鬼門)
그래서 이것이 식신(食神)이 있어야 하는 이유이다. 최강의 생존 능력을 다 지고 있는 을유 일주(乙酉日柱)는 건강상의 사건·사고가 늘 빈번하게 발생하는 일주이다.
● 이상적인 을미일주(乙未日柱)의 오행 구성 일주(日柱)
월주(月柱)를(乙)
정(丁), 갑(甲), 경(庚) 미(未)
해(亥)

식신(食神)이 있어 식 신 제살( 殺)이 되었고 예측 불가한 사건·사고를
임과 지혜를 가졌다고 해도 인생 자체가 힘들고 고통을 완벽히 해에 주지는 못한다. 방어하고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 인생 자체가 고통서